해양학

바다자원 이야기-갯벌 1편

서울시골사람 2023. 1. 17. 22:21
반응형

코로나19가 한참 창궐하던 2021년, 단비 같은 소식이 들렸다. ‘한국의 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오른 것이다.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는 지난 7월 26일, 한국 갯벌을 세계유산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적으로 결정했다.



갯벌이란 '갯가의 넓고 평평하게 생긴 땅'으로 정의하고 있다. 갯벌에 대한 용어들이 여러 가지로 혼동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주로 갯벌, 개필, 펼, 별, 간석지 등이다. 이러한 용어들은 모두가 각각의 의미를 가지고 있어 사용시 주의하여야 한다. 갯법의 사전적 의미를 살퍼보면, '조수가 드나드는 바닷가나 강가의 모래 또는 개펄로 넓고 평평하게 생긴 땅'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조간대의 개펄 벌판은 펄 갯벌 또는 간석지로 모래 벌판은 모래 갯벌 또는 간사지로 구분하고 있다. 개펄은 갯가의 개흙 땅 또는 진홈 땅이라는 뜻이고 펄은 개펄의 준말이다.
유네스코에 등재된 영어 표현을 보니 ‘Getbol, Korean Tidal Flats’다. 갯벌은 우리나라에만 있는 것이 아닌데 한국의 갯벌을 세계자연유산으로 인정해 준 것이다. 한국의 갯벌이 살아있고 보존 가치가 크기 때문이 아닐까?

궁금해서 유네스코 공식 홈페이지에 가 봤다. 한국 갯벌이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이유가 자세히 나온다. 영어, 불어, 중국어 등 5개국어로 나온다.
특히, ‘한국의 서해안과 남해안에 있는 서천, 고창, 신안, 보성·순천 갯벌은 지질학적, 해양학적, 기후학적으로 보존해야 할 가치가 크다. 이곳에는 세계적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22종을 포함해 2150종의 동식물군 등 높은 생물다양성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118종의 철새도 서식한다. 한국의 갯벌은 지구 생물다양성의 보존을 위해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하고 의미 있는 서식지 중 하나이며, 특히 멸종 위기 철새의 기착지로서 가치가 크므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 OUV)가 인정된다’라며 자연유산으로 등재하기로 한 것이다.
이에, 본문과 뒤이을 2편에서는 갯벌의 정의, 중요성, 기능 및 경제적 자원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갯벌의 기능 중 생태계의 가치에 대해 먼저 알아보면 지역 내 생태계에 주는 가치는 수질정화, 해안선 안전화, 외부 생태계 부양, 미래에의 잠재적인 사용, 생물 다양성, 문화유산, 유증 가치 등이 있다. 세계은행 환경부(EDWB 2002)은 갯벌의 기능으로 영양분, 퇴적물, 오염물질 포획,
물 저장, 유속 감소, 기저유량 유지, 6대수층 재충전, 생물다양성과 영양시스템의 유지 , 육지와 해양 생태계의 연계성 유지로 분류하였다.
또, 갯벌은 이런 기능들을 통해 수질 개선, 홍수 제어, 토사 유출 제어, 해안선 안정화, 폭풍우 방재, 물 공급, 동식물의 생산, 야생동물에 기초한 교육 및 연구, 여가활동 기회 제공, 수산업 생산 지지와 맹그로브 숲의 확대 등의 이익을 인간에게
제공한다. 환경부는 갯벌의 기능을 어류 생산 및 서식지 기능, 육상 배출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오염정화기능, 심미적 기능, 단기간의 홍수량을 조절하는 홍수조절 기능, 태풍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완충 역할을 수행하는 폭풍 조절 기능 등으로 분류하였다. 해양수산부는 갯벌의 기능을 서식지 제공기능, 해수정화기능, 수문학적 기능, 심미적 기능 등으로 분류 하였다. 서식지 제공기능은 동식물이 살아갈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해수 정화기능은 갯벌로 유입되는 해수 내 부영양물질과 퇴적물이 갯벌 내에서 저감되는 작용을 의미한다. 수문학적 기능은 파도 에너지의 감소를 통해 해안 침식을 방지하고, 홍수를 저장시키는 작용, 심미적 기능은 수렵 활동이나 관광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갯벌의 수산물 생산 기능에 초점을 두고 설명하면, 어촌 마을 주민들의 삶의 터전으로 육지에서의 논/밭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갯벌은 근본적으로 국가 소유이지만, 관습적으로 마을 어장의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어촌계라는 사회조직과 총유라는 독특한 의사결정과 이용 및 수익의 분배방식을 가지고 있다. 갯벌은 이러한 사회조직 및 가치체계에 의해 지금까지 유지되고 보전되어 왔다. 갯벌의 어류 생산은 육상의 생산성보다 9배나 높은 가치를 보이는데 어류 생산성은 10톤/acre 에 달한다. 전 세계 수산물 생산량의 75%가 하구와 습지생태계에 의존하는 생물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다양한 갯벌 식물과 동물의 서식지로서 기능하기도 한다. 이름바 생물학적 수퍼마켓이라고 할 수 있는데 갯벌은 연안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착 생물종(resident species) 외에도 철새와 기타 야생동물들이 서식하고, 전이대의 특성을 갖는 독특한 생물다양성을 유지한다.
갯벌은 또한 각총 해양생물의 보육장과 산란장 역할을 수행한다. 연안 생태계 부양 기능의 범주 가운데 생물다양성의 유지 기능은 육상과 해양의
중간에 위치한 전이대로서, 특이한 환경적 특성으로 인해 서식처의 이질성이 증가됨에 기인한다.
주변 생태계와 비교할 때, 갯벌의 생물다양성은 낮지만, 독특한 구성원으로 형성된 군집은 갯벌을 포함하는 연안역의 공간적 측면에서 볼 때 생물의 고유성과 생산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갯벌의 서식지 기능은 갯벌 지형과 식물상이 만들어내는 서식처의 복잡성과 외부 생물 접근의 시간적 제한성에서 발생하는 기능이다.
이상, 갯벌의 기능을 알아보았다. 갯벌의 중요성, 경제적 자원적 가치는 2편에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