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4

바다자원 이야기-갯벌 1편

코로나19가 한참 창궐하던 2021년, 단비 같은 소식이 들렸다. ‘한국의 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오른 것이다.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는 지난 7월 26일, 한국 갯벌을 세계유산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적으로 결정했다. 갯벌이란 '갯가의 넓고 평평하게 생긴 땅'으로 정의하고 있다. 갯벌에 대한 용어들이 여러 가지로 혼동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주로 갯벌, 개필, 펼, 별, 간석지 등이다. 이러한 용어들은 모두가 각각의 의미를 가지고 있어 사용시 주의하여야 한다. 갯법의 사전적 의미를 살퍼보면, '조수가 드나드는 바닷가나 강가의 모래 또는 개펄로 넓고 평평하게 생긴 땅'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조간대의 개펄 벌판은 펄 갯벌 또는 간석지로 모래 벌판은 모래 갯벌 또는 간사지로 구분하고 있다. 개펄은 갯..

해양학 2023.01.17

해양지질학-마리아나 해구, 히말라야의 신비

에베레스트를 거꾸로 바다에 빠뜨려도 더 깊다는 마리아나 해구 같은 바다 지형을 연구하는 해양지질학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해양지질학 (또는 지질해양학)으로 불리는 이 학문은 바닷속 바닥면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으로 지질 뿐만 아니라 해안 가장자리에 관한 조사도 포함한다. 육지를 대상으로 하는 지질학과 마찬가지로 해저퇴적학·해저층서학·해저지형학·해저구조지질학 등으로 나뉘며, 물리 해양학과 큰 연관을 가지고 있다. 이 가운데 최근 해양저 확대설, 판 구조론 발전에 따라 해저구조지질학은 해양지구물리학으로서 그 내용 자체에 충실하고 있다. 현대에는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은 해저 지형과 판의 경계에 대한 상세한 연구를 통하여 군사적, 경제적인 목적을 동시에 이루는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해구는 바다의 바닥에 위치..

해양학 2023.01.13

해양쓰레기, 플라스틱의 역습

푸른 바다 행성이라는 아름다운 별칭에 걸맞지 않게 지구의 바다가 거대한 쓰레기 처리장이 되어버렸다. 인류가 바다에 쓰레기를 버린 역사는 꽤 오래됐다.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배를 타고 육지를 등지고 떠나는 사람이 생겨난 바로 그 순간부터일 것이다. 배를 타고 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생활 쓰레기나 음식물 찌꺼기, 그리고 인간(혹은 가축)의 배설물은 모두 바다에 버려졌을 테니 말이다. 하지만 바다는 넓은 아량으로 사람들이 버린 것들도 모두 보듬어 다시 생태계 안으로 순환시켰다. 근대화 이전 시대의 쓰레기들이란 대부분 자연물의 일부이거나 유기물이었기에, 너른 대양 속을 가득 메운 작은 생명체들은 이를 먹고 소화해 다시 지구 생태계의 자원으로 되돌려주는 순환 고리를 형성하고 있었다. 하지만 점차 상황은..

해양학 2023.01.12

해양학 개론과 기원

해양학은 말 그대로 바다 그 자체와 바다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여러가지 공학, 이를테면 지질학, 물리학, 생물학, 화학 등과 바다와 주위에 적용할 여러 학문 분야를 포함한다. 해양학의 세부학문으로는 해양공학, 해양생물학, 물리해양학, 해양지질학, 화학해양학 등이 있다. 각 세부학문이 어떤 분야를 연구하는지 알아보면, 해양공학은 선박, 항만, 석유 플랫폼 등 해양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구조물의 건조·설계 분야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또 항해의 안전성 제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 해양생물학은 해양생물의 분포와 특성, 해양-대기의 상관관계로 인한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며, 해양생물로부터 유용한 물질을 얻기 위해 연구하는 분야로 이를테면 바다에서 나는 생물자원을 연구한다. 물리해양학은..

해양학 2023.01.11